등산(남산 문화재)

금오봉에 우뚝 솟은 연화대

죽전일지 2024. 7. 20. 14:07

내가 남산 문화제 안내를 한답시고 늘상 가는 코스중에

말로만 알려주고 데려가지 않았던곳

오늘 이 "연화대"에 올라 앉아 마치 미륵이나 된듯 궁예와같은 환상에 젖었던 

그 연화대를 사진으로 소개한다.

이 연화대는 신라향가인 안민가와 찬기파랑가를 지은 충담선사의 차 공양으로 유명하다

뒤에 사진과 함께 소개한다

 

오늘이 무슨 날인지 마침 비구스님들이 한 백명정도 남산에 깔렸다

신라문화원 진병길 원장 안내하에 남산 전체를 돌고 있는 모양이다

 

나는 또 서울에서온 새댁 몇명의 부탁으로 안내를 맡았다

코스는 삼릉에서 출발, 금오봉으로 - 용장사지 (대좌불,삼층석탑,마애불)를 보고

이  "연화대"를 거쳐 칠불암쪽으로 솔숲길을 신나게 걸어서

신선암 반가상과 국보로 지정된 칠불을 거쳐 서출지 까지 천년의 이야기들을 소개하면서

스님들과 내내 같은 코스를 앞서거니 뒷서거니 하며 다니다 보니

아침 9시경부터 오후5시가 가까웠으니 근 8시간을 헤매었는데도

지루한줄 모르고 오늘 하루를 마감 할수 있었다.

 

남산의 다른 사진들은 내용과함께 이미 소개했기 때문에 오늘은

연화대만 보기 바랍니다. 스님들과 함께 있는 곳은 칠불암인데 마침 칠불암을 세암 (청소)

하고 있어 스님들이나 서울 분들이 본존불과 협시불의 실물을 못보게 되어

좀 안되었었지만 어쩔수 없다 

 

 

남산에는 삼화령이 있다 금오봉과 고위봉 그 가운대 연화대 이렇게 삼화령이라 부른다

 그 연화대는 남산 용장계 위 높이 솓은 둥근바위에서 만날 수 있다.

불상은 현재 경주박물관에 있는 애기부처로 유명한 ‘미륵삼존불(彌勒三尊佛)’이라 추정한다

 

서기 765년 삼월 삼짇날, 신라 35대 임금인 경덕왕(景德王 742~765)이 신하들을 거느리고

반월성 귀정문(歸正門)에서 말하기를,
“누가 영광된 일을 할 훌륭한 스님을 모셔올 수 있겠소?”

 

얼마 후 한 승려가 검소한 옷을 입고 앵통(櫻筒)을 걸머지고 남쪽에서 걸어왔다

“그대는 누구시오?”
“충담이라 합니다.”
“어디서 오는 길이요?”

“소승은 해마다 삼월 삼짇날과 중구일이면 삼화령 미륵불께 차를 공양합니다

충담은 그 자리에 찻자리를 펴고 차를 달여 경덕왕에게 대접했는데,

그 차 맛이 특이하고 차 사발에서 신비로운 향기가 났다.

 

“내 들으니 스님이 기파랑을 노래한 사뇌가(詞腦歌)가 그 뜻이 높다던데

 나를 위하여 백성을 다스려 평안케 할 노래를 하나 지어주시오.”

충담은 즉석에서 노래를 지었다. 그 노래가 ‘안민가(安民歌)’라는 향가다.

 

 

 

 

                                    안민가(安民歌)

                      임금은 아버지요 신하는 어머니라

                   백성을 사랑스런 아이로 여기면

                     백성은 그 사랑을 알겠지요.

         꾸물거리며 살아가는 중생을 먹여 다스리면

               그들이 이땅을 버리고 어디로 가랴

                하게되면 나라가 보존됨을 알리라.

            아, 임금은 임금답게 신하는 신하답게

         백성을 백성답게 할지면 나라가 태평하리라.

 

  

                                     君隱父也
                                     (군은부야)
                                     臣隱愛賜尸母史也
                                     (신은애사시모사야)
                                    民焉狂尸恨阿孩古爲賜尸知
                                    (민언광시한아해고위사시지)
                                    民是愛尸知古如
                                    (민시애시지고여)
                                    窟理叱大 兮生以支所音物生
                                    (굴리질대힐생이지소음물생)
                                    此兮食惡支治良羅
                                    (차힐식악지치량나)
                                    此地兮捨遣只於冬是去於丁
                                    (차치힐사유지어동시거어정)
                                    爲尸知國惡支持以 支如右如
                                    (위시지국악지지이지지고지)
                                    後句 君如臣多支民隱如
                                    (후구군여신다지민은여)
                                    爲內尸等焉國惡太平恨音叱如

                                    (위내시등언국악태평한음질여)

 

 

                                    군(君)은 아버지요,

                                    신(臣)은 사랑하실 어머니요,

                                    민(民)은 어린아이로고!

                                    하실지면, 민이 (위정자의) 사랑을 알리이다.

                                    꾸물거리며 살손(별다른 생각없이 주어진 날을 순응하며 살아가는)물생(物生)이

                                    이를 먹어 (잘) 다스려져

                                   '이 땅(신라)을 버리고 어디 가려!' 할지면(왕께서는) 나라 안이 유지될 줄 알리이다.

                                    아으, 군답게, 신답게, 민답게

                                    할지면 나라 안이 태평하니이다.

 

 

 

 

연화대 위에 홈이 사방으로 파여진것을 보면 아마도

불상을 지탱하는 구축물이 있었던듯

 

 

 

찬기파랑가 ( 讚耆婆郞歌 )

열오이처미 咽嗚爾處米

로효사은월라리 露曉邪隱月羅理

백운음축간부거은안지하 白雲音逐干浮去隱安支下

사시팔릉은정리야중 沙是八陵隱汀理也中

기랑의모사시사수사 耆郞矣모史時邪藪邪

일오천리질적오희 逸烏川理叱적惡希

랑야지이지여사오은 郞也支以支如賜烏隱

심미제질힐축내량제 心未際叱힐逐內良齊

아야백사질지차고지호 阿耶栢史叱枝次高支好

설시모동내호시화판야 雪是毛冬乃乎尸花判也

(구름을) 열어 젖히니

나타난 달이

흰구름 좇아 (서쪽으로) 떠가는 것이 아닌가?

새파란 냇물에

기파랑의 모습이 있어라.(어리도다)

이로부터 그 맑은 냇물 속 조약돌(하나하나)에

기파랑이 지니시던

마음 끝을 따르고자

아아, 잣나무 가지 높아

서리 모르시올 화랑의 우두머리시여. (양주동 해독)

 

 또한 김완진의 해독은

흐느끼며 바라보매
이슬 밝힌 달이
흰 구름 따라 떠간 언저리에
모래 가른 물가에
기랑(耆郞)의 모습이올시(모습과도 같은)
수풀이여
일오(逸烏) 내 자갈 벌에서
낭(郎)이 지니시던
마음의 갓(끝)을 좇고(따르고)
 있노라.
아아, 잣나무 가지가 높아
눈이라도 덮지 못할 고깔이여(화랑의 장이여)(김완진 해독

 

신라 경덕왕 때, 충담사(忠談師)가 화랑 기파랑(耆婆郞)을 추모하여 지은

 십구체 향가(十句體鄕歌).

기파랑의 고결한 마음을 냇물에 비친 달의 모습과

서리에 굽히지 않는 잣나무에 빗대어 나타내었다. 《삼국유사에 전한다》